이동 통신 산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많이 받은 challenge는 통신 산업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니, 더 이상 성장 동력이 없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었다.
부분적으로 동의한다. 통신 비용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20년전 시외 전화앞에서 벌벌 떠는 모습과 휴대전화에 대고 소리치는 모습을 비교해보라!) 현재 유무선 통신 업체(Tele-communication companies)들은 그동안 비용(통신회사입장에서는 매출) 감소를 만회(Offset)해왔던 연결 정도(Number of connection) 혹은 가입자수 증가 여지를 더이상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Margin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 회사의 범위를 전신(Tele-)에서 해방시켜 생각해보면, 통신 산업은 결코 포화에 이르지 않았다. 인간의 통신(Communication)에 대한 욕구는 오히려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전신 기반의 통신으로 인간은 전세계 누구와도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해졌다. 이동통신은 심지어 화장실에서 일을 보고 있는 이까지 ‘직접’ 연결시킨다.
‘인터넷’은 ‘직접적’이었던 통신을 ‘간접적’으로 확대하였다. 인터넷 메신져가 등장하며,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전화번호를 몰라도, 지인과 꼭 목소리를 맞대지 않아도 될 덜 부담스러운 가벼운 대화가 가능해졌다. I Love school은 과거의 나와 관련이 있던 이들과 다시 연락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다음 카페는 관심사가 같은 이들이 게시판 형식으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선물했다. 요하자면, 인터넷을 통해 몰라도 되었을 사람들과 많은 통신을 하게 되었다.
미국의 Social networking site들은 인터넷이 전신 통신의 보완재였던 역할에서 벗어나, 주도적으로 연결 정도(Number of connection)의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acebook은 건너건너의 친구들과 이메일을 한번이라도 주고 받은 이들에게 프로필과 같은 가벼운 사진/관심사 ‘꺼리’를 툭툭 던지며, 소통을 유도한다. 정말 좋은 소개팅 주선자가 아닐 수 없다. Linked in은 Career path를 공유하며, 내가 미래에 닮고 싶은 이들까지 연결을 시켜준다. 구글은 각종 자동 번역기를 출시하며, 심지어 언어가 다른 이들끼리 통신을 종용한다. 그들은 소통의 중심이자 플랫폼이 되고 싶어한다.
얼마전 Posting했던 Metcalfe’s Law대로, Networking이 많이 이루어지면, 가치가 증가한다는 생리를 인터넷 기업들은 잘 파악하고 있다. 가입자수 증가는 연결 정도(Number of connection)를 배로 늘어나게 하고, 통신 비용을 더욱 낮출 여력이 생긴다. 비용이 낮아지면, 고객들에게 부담시킬 필요도 없이, (오히려 청구 및 관리 비용 등이 더 클 수 있다.) 기업 고객 광고 등으로 부담을 전가시킬 수도 있다.
통신 산업은 시장이 포화에 이른 것이 아니라, 통신의 수단이 옮겨 가고 있다는 표현이 옳겠다. 대비를 하지 못한 이는 시장 포화 및 정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급격한 Shift에 도태될 것이다.
Think of how stupid the average guy is, and realize halve of them are stupider than that.
Sent from my iPad 4G
Please continue to write.